메뉴

[신년인터뷰] 유무영 서울지방식약청장 "14년 만에 현장에...수입식품 안전관리 역점"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 시행 수입식품 관리 만전
불량식품 근절, 위해소통 부족현상 사회적 비용 상승

HACCP 집중관리, 식품이력추적제 현장심사, 식.의약 위해사범 수사 등 기본 안전관리 정진


지난해 7월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으로 임명된 유무영 청장은 "2001년 부산식약청 의약품감시과장으로 있을 때로부터 14년 만에 지역 기관장으로서 현장근무"라며 "국민 안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유 청장은 취임 후 보세창고, 식품위생전문기관, 제조업체 등을 돌며 현장 중심 행정을 펼치며 의욕적으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서울, 경기북부, 강원 등 1400만의 국민 식의약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청은 지난해 본부로서의 역할을 톡톡해 해냈다.


지난해 서울식약청은 안전한 식품 공급을 위해 605개 HACCP 인증업체 정기조사 평가했으며 급식 관리 선진화를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센터를 12개 신설해 서울청 관래 40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식중독 예방 학교장, 영양교사 대상 예방교육 66회, 안전한 유통기반 확립 주류 제조업체 82개소 점검, 국내외 위해정보 1009건 검사를 진행했다.


이외에도 예방적 차원에서 22개 호텔, 17개 대학 예방적 위생점검을 실시하고 축산물 안전 환경을 위해 전통시장내 닭오리 식품제품 관리, 설성수식품, 겨울철 다소비식품 등 199개소에 대한 기획감시, 1만205건의 유통 농수축산물 시험검사, 의약품.화장품.의료기기 등 제조업체 제조평가 등을 펼쳤다.


푸드투데이는 병신년(丙申年) 새해를 하루 앞둔 지난해 12월 31일 서울식약청 집무실에서 유 청장을 만나 청장 취임 후 소감과 새해 계획을 물었다.


유 청장은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입장에서 정책을 입안하고 문제를 파악했던 본부 생활에 비해 현장감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며 "또한 지자체와 지방청의 업무차별성 문제나 협업문제, 본부와 지방청간의 유기적 협력강화방안 등 새로운 과제들을 인식해 볼 수 있는 좋은 경험"이라며 취임 후 6개월 남짓동안 소감을 밝혔다.


유 청장은 2016년 본부의 정책 방향은 기본적으로 본처의 정책을 현장에서 가시화 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청장은 "올해 정책 방향의 기본은 불량식품 근절과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 시행에 따른 수입식품 안전관리다"며 "특히 서울청은 수입식품 판매업이 집중 돼 있기 때문에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 관리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2월 5일부터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이 본격 시행돼 해외제조업체 등록제 도입, 현지 실사 강화 등 수출국 현지부터 수입식품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유 청장은 "지난해 식품안전조사에서 일반식품 만족도는 73.8% 반해 수입식품은 51.8%에 불과했다"며 "이는 국민들이 수입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보다 철저히 수입식품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외에도 다소비 계란.알가공품에 대한 관리강화, HACCP 등의 집중관리, 의약품수입업, 유통 농수축산물의 시험검사, 식품이력추적관리제조 단계적 의무화에 따른 현장심사, 식.의약 위해사범 수사 등 기본적인 업무를 충실히 해나가겠다는 포부다.


지난해 백수오 사태 등으로 무너진 국민 신뢰에 대해서는 "국민의 안심과 신뢰 확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식의약 안전이슈가 단순 개별품목 이상의 이슈가 아닌 사회 이슈화가 쉽게 되고 있는 측면에서 사회현상 부분에서 위해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식의약 안전문제는 국경이 없는 무국경 현상을 보이고 있고 FTA에 의해 많은 식의약품이 들어오는 등 대교역 시대가 됐다. 여기에 소셜네트워크 발달로 정보의 확산과 사회 이슈화가 쉽게 점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위해소통 부족현상이 일어나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상승한다"고 염려했다.


그는 "과학행정기관인 식약처가 국민들로부터 믿고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유 청장은 "문신, 일상생활에서 IT와 접목된 신상품, 어르신들의 건강상 관심을 이용한 떳다방 성행, 온라인에서의 직접구매 등 이루헤아릴수 없는 많은 분야에서 안전관리범위가 대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기본적으로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당연히 수반돼야 하겠지만 업계나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