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궁궐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 6점, 창덕궁 벽화 공개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개최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은 14일부터 10월 12일까지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창덕궁 내전의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을 장식했던 벽화 6점과 초본 1점을 최초로 일괄 공개하는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창덕궁 벽화들은 높이가 각각 180~214cm, 너비가 각각 525~882cm에 달하는 대작들로 크기 면에서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또한 조선왕실의 마지막 궁중회화로 1917년 당시 황위에서 물러난 순종(1874~1926, 재위 1907~1910)과 순정효황후(1894~1966)가 생활했던 창덕궁 내전이 화재로 소실된 후 1920년 재건되면서 이곳을 장식하기 위해 제작됐다.

 

벽에 직접 그린 것이 아닌 비단에 그린 후 종이로 배접하고 이를 벽에 부착한 부벽화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당시 재건된 내전 권역의 주요 건물인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은 전통건축의 외형에 서양식 설비와 실내장식을 갖추었는데, 6점의 벽화가 각 건물의 대청 동쪽과 서쪽 벽 상단을 가득 채우고 있어 위엄과 아름다움을 더한다.

 

이들 벽화가 100여 년 동안 내전에 그대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세월의 풍파를 겪어 보존 처리와 안전한 관리가 필요해짐에 따라 국가유산청은 벽화들을 떼어내 2014년 대조전 벽화, 2016년 희정당 벽화, 2023년 경훈각 벽화의 보존처리를 완료한 이후 벽화 원본은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 중이며, 현재 창덕궁 내전 전각에는 모사도와 영인본을 설치했으며, 이 6점의 벽화는 모두 국가등록문화유산이다.

 

이번 전시는 2부로 구성되는데 순종의 접견실이었던 희정당의 벽화, 황제 부부의 침전인 대조전의 벽화, 서재 겸 휴식공간이었던 경훈각의 벽화를 각각 분리된 공간에서 자세히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 근사한 벽화, 다시 깨어나다 주제로 전시를 진행하는데 오랜 세월 사랑받은 민족의 영산 금강산의 절경과 봉황과 백학의 상서로운 날갯짓, 영생을 누리는 신선의 세계를 관객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환상적인 실감영상으로 재현했다.

 

특별전시 기간 중에는 매일 11시, 15시 전문 안내원의 전시해설을 들을 수 있고,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전문가들의 왕실문화 심층탐구 강연과 현장에서 느끼는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현장답사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궁궐건축과 궁중회화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근대미술의 우수한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왕실유산의 가치 확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