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급변하는 기술·사회 환경 속에서 지방행정이 요구받는 역할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전북 고창군은 ‘적극행정’을 핵심 가치로 삼고 조직문화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규정 중심의 소극적 행정에서 벗어나 군민 중심의 능동적 해결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이다.
뉴시니어는 18일 김영식 고창군 부군수의 적극행정의 의미와 추진 배경, 향후 방향을 들어봤다.
“적극행정은 행정의 생존전략…능동적 대응이 필요한 시대”
김영식 부군수는 최근 행정현장에서 적극행정이 강조되는 이유에 대해 “사회·기술 변화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기존 방식만으로는 행정 서비스가 군민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다”며 “공무원이 능동적으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적극행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안 됩니다’에서 ‘방법을 찾겠습니다’로…자세 변화가 핵심”
적극행정의 핵심에 대해 김 부군수는 “규정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정의 취지를 정확히 이해해 군민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 내부의 관성에서 벗어나 군민의 관점에서 판단하는 자세의 변화가 적극행정의 출발점”이라며 “행정이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불가’가 아닌 ‘대안 제시’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직 전체가 함께해야…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 필요”
적극행정이 조직문화로 정착되기 위한 조건에 대해 그는 “일부 직원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조직 전체가 적극행정의 가치를 공유하고 실천해야 의미 있는 변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상급자는 직원들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심리적 지원을 해야 하고, 조직은 실패를 제재의 대상이 아니라 과정으로 인정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창군, 적극행정 제도화…우수공무원 인센티브·사전컨설팅·면책제도 운영
군은 적극행정 실천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적극행정 실행계획 수립, 적극행정 우수 공무원 선발 및 인센티브 제공, 적극행정 전문 교육 추진, 적극행정위원회 운영을 통한 의견 제시 체계 마련, 사전컨설팅 제도 운영, 면책보호관 지정 및 소송지원 체계 구축, 군민 참여 기반도 강화했다. 군민이 직접 우수공무원을 추천할 수 있는 온라인 창구를 마련했으며, 불합리한 규제를 제보할 수 있도록 규제혁파신문고를 운영하고 있다.
군민 중심 행정으로의 전환…적극행정은 공직자의 시대적 책무”
김영식 부군수는 “적극행정의 최종 목표는 명확하다. 군민 중심 행정의 실현”이라며 “군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행정력이 집중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적극행정은 모든 공직자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시대적 책무”라며 “군민의 행복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가는 행정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