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 조성윤기자]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일가의 금융 투자를 수사하는 검찰이 한국투자증권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투자증권 영등포PB센터에 검사와 수사관을 투입해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 내부 문건을 확보 중이다. 이번 압수수색은 조 후보자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의 사모펀드 투자 등 자금 흐름을 수사하는 가운데서 진행됐다. 한국투자증권 영등포PB 센터의 ㄱ씨는 정씨와 자녀들의 유가증권 등 재산을 관리했다. 검찰 수사도 ㄱ씨 관련 내부 자료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 후보자가 지난 8월 제출한 재산변동사항 신고서에는 정 교수 명의로 한국투자증권 13억4000만원 예금 내용이 포함됐다. 정 교수는 2018년 3월 재산신고 때 한국투자증권 채무가 8830여만원이 종전보다 더 늘어난 1억원 채무를 신고했다. 지난 해 3월 이를 모두 변제해 현재 금융기관 채무는 0원이 됐다. 정 교수가 자녀 2명과 함께 사모펀드에 74억5500만원을 투자 약정하고 실제 10억 5000만원을 넣은 시점은 2017년 7월이다. 검찰은 전날 정씨가 출자한 사모펀드 블루코어밸류업1호의 투자금을 받은 제조업체 웰스씨엔티의 최모
[문화투데이 = 조성윤기자]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조 후보자 배우자 정경심씨(57)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3일 오전 경상북도 영주 동양대학교 교양학부 사무실에 검사와 수사관을 투입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내부 문서 등을 확보하고 있다. 후보자 딸의 논문 제1저자 등재 논란, 한영외고 학부모 스펙 품앗이 등 각종 입시 의혹과 정씨가 직접 투자한 사모펀드 관련 의혹을 파악하기 위한 강제수사로 풀이된다. 검찰은 이날 오전 9시쯤 조 후보자의 딸 조모씨(28)의 봉사활동 내역 확인을 위해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에 대한 압수수색도 벌였다. 조씨가 고등학교 재학 시절 코이카에서 한 비정부기구(NGO) 협력 봉사활동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검찰의 이날 압수수색은 전일 조 후보자가 국회에서 11시간 가량의 기자회견을 끝낸 지 7시간만에 벌어졌다. 조 후보자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5촌 조카 조모씨의 추천으로 정씨가 사모펀드에 투자했다고 반복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이 펀드의 투자자가 배우자 정씨, 자녀 2명, 처남, 처남 자녀들만이 투자한 ‘가족 펀드’였다는 사실, 사모펀드 운영사인 코링크PE 실
[문화투데이 = 조성윤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사회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클럽 ‘버닝썬’과 경찰의 유착 의혹과 관련해 철저한 수사를 지시했다. 3월 말 재조사 시한 만료를 앞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 고 장자연씨 사건 등도 철저히 수사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18일 청와대에서 세 사건과 관련한 박상기 법무부 장관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의 보고를 받은 뒤 “검찰과 경찰이 권력형사건 앞에서 무력했던 과거를 반성하고 고의적 부실·비호·은폐 수사 의혹을 밝혀야 할 것”이라며 “공소시효가 끝난 일은 그대로 사실 여부를 가리고 공소시효가 남은 범죄행위가 있다면 반드시 엄정한 사법처리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그는 “사회 특권층에서 일어난 이 사건들의 진실을 규명해 내지 못한다면 우리는 정의로운 사회를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과 경찰이 신뢰받는 사정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이 보기에 대단히 강한 의혹이 있는데도 오랜 세월 동안 진실이 밝혀지지 않았거나 심지어 은폐된 사건들이 있다”며 “공통적 특징은 사회 특권층에서 일어난 일이고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들이 고의적 부실수사를 하
[문화투데이 = 조성윤 기자]검찰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사건 수사를 위해 14일 삼성물산 등을 압수수색했다. 지난해 12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회계법인 등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한 지 석 달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송경호)는 이날 오후 삼성SDS 과천데이터센터와 삼성물산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내부 보고서와 회계 관련 문서들을 압수수색했다. 삼성바이오 회계감사 등에 관여한 회계법인과 삼성물산 일부 임직원도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앞서 검찰은 지난해 12월 13일부터 며칠간 인천 연수구의 삼성바이오 본사와 삼성바이오에피스(삼성에피스) 등지를 압수수색한 바 있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대주주인 삼성물산과 관련 기업의 회계감사 및 기업평가에 관여한 삼성, 안진, 삼일, 한영 등 4개 회계법인 등도 압수수색했다. 현재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계사기의 고의성 여부와 사기 규모를 파악 중이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이어 법원이 또다시 삼성물산 등을 상대로 추가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한 만큼 삼성물산 합병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의 연결고리를 찾은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