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어르신 일자리를 확충하고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월 문을 연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이하 센터)를 통해 634명이 취업하고, 시니어 인턴십에는 337명이 참여, 운영 10개월 만에 센터 구직 등록자는 2,770명, 취업 상담은 6,669건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월, 서울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시는 내년부터는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니어 맞춤형 직무훈련과 취업을 지원하는 시니어 취업사관학교, AI 기반 시니어 인력뱅크를 구축, 운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시는 9988 서울 프로젝트 발표에서 2040년까지 공공․민간 어르신 일자리 33만 개를 창출과 그 세부 실행 방안으로 시니어 취업사관학교와 시니어 인력뱅크 구축 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탐색반(진로 탐색), 속성반(직무훈련), 경력인재 지원사업(인턴십) 3단계에 걸친 시니어 취업사관학교 과정을 열고 직무 적응력과 고용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실전 중심 취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간다.
교육 단계에서 확인된 관심 분야, 직무 역량과 활동성과를 기업 채용 조건에 맞춰 연계함으로써 교육, 매칭(알선), 고용까지 이어지는 원스톱 취업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또한 AI을 활용해 시니어 구직자의 경력, 역량, 희망 직무 등과 기업의 채용 요건 및 실무 특성을 종합 분석하여 매칭하는 취업지원 플랫폼 ‘시니어 인력뱅크’도 내년 시스템을 구축한 뒤 시범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센터는 18일 서울무역전시장(SETEC)에서 70여 개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시 시니어 일자리박람회를, 19일에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니어 경력을 바탕으로 민간 일자리 진출 기회를 모색하는 지속가능 인재전략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시니어 일자리박람회에서는 기업수요에 맞는 채용설명회와 현장 면접형 일자리 매칭존이 운영됐으며, 디지털 기기 체험 등 고령자 친화 체험행사와 직무 시연 프로그램, 건강 및 금융관리 등 시니어 맞춤 부대행사도 열렸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초고령화 시대, 기업은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지속가능 인재전략 컨퍼런스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애플코리아, 법무법인 율촌, GS리테일 등 민간기업이 함께 참여해 AI 시대 인재전략, 전략적 시니어 일자리 모델 등을 논의한다.
아울러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는 일할 의지와 역량 있는 60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취업 상담 및 알선, 기업수요 맞춤형 직무교육, 시니어 직무실습(인턴십) 등 취업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지속가능한 어르신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민간기업과의 협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 기업수요 맞춤형 직무교육, 시니어 직무실습(인턴십)연계, 현장 면접형 잡매칭데이 등 총 457개 공공 및 민간기업(민간기업 259개, 공공기관 146개, 기타법인 및 단체 52개소)과 시니어 일자리 지원을 협력하고 있다.
시는 무엇보다 어르신들은 판매․영업․상담과 같이 대인관계, 책임감, 감정 조절 능력 등 측면에서 강점을 발휘하는 사람을 상대하는 직무에서 높은 수요와 만족도를 보였다며 앞으로 어르신 경험과 역량이 발휘될 수 있는 일자리 모델 발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는 일자리를 찾는 60세 이상 시민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관련 정보는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 누리집(50plus.or.kr/sjc)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상담도 가능하다.
윤종장 시 복지실장은 “민간기업과 함께 추진한 현장 중심의 직무훈련․상담․취업 연계 프로그램이 10개월 만에 고용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시니어 취업사관학교’ 등 체계적 취업 지원 시스템을 통해 어르신이 스스로 경력과 삶을 새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