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노인(65세 이상) 건강 현황을 집중 분석한 결과, 여성 노인 10명 중 3명(31.6%)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으며, 근감소증 유병률도 남녀 평균 9.4%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골다공증, 근감소증, 생활기능 등 노인 건강 관련 항목을 강화해 실시됐다.
특히, 골다공증·근감소증을 동시에 가진 노인의 경우, ‘쭈그리고 앉기’나 ‘계단 오르기’ 같은 기본 동작 수행에서 큰 어려움을 호소했다.
영양 섭취에서는 단백질·지방 섭취 비율이 증가하고 탄수화물 섭취는 줄어들며, 영양 균형은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만성질환 유병률은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했지만, 인지율·치료율·조절률 등 관리 지표는 개선돼 긍정적인 변화도 있었다.
임승관 청장은 “남성 노인은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 유병이 높은데도 흡연·음주 개선이 미흡하고, 여성 노인은 3명 중 1명이 골다공증을 앓는 등 노년기 삶의 질 저하 위험이 심각하다”라며 “초고령화 사회에 맞춰 맞춤형 건강관리와 적극적인 예방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노인 건강조사를 확대하고, 추적조사 및 연계 연구를 통해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수명 연장 정책의 근거자료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