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커피 매일 3∼4잔 마시면 내장지방 비만 위험 33% ↓

일본 NTT 도쿄 의료센터 연구팀, 1만9,000여명 분석 결과

[뉴시니어 = 조성윤 기자] 커피를 즐겨 마실수록 내장비만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나왔다. 미국의 유명 건강 전문매체 ‘이팅웰(EatingWell)은 이 논문을 근거로 해 “영양 전문가가 추천하는 내장지방 줄이는 최고의 음료는? ‘커피”(The #1 Drink to Help You Lose Visceral Fat, Recommended by Dietitians)라는 제목의 기사를 최근 올렸다.

 

 1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일본 NTT 도쿄 의료센터 하야시 요시노리 박사팀은 2015∼2018년 도쿄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만9,253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내장지방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커피 섭취와 내장지방 비만의 상관관계: 단면 연구, Associ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Visceral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는 국제 학술지인 ‘비만’(Obesities)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내장지방 면적(Visceral Fat Area, VFA)과 일일 커피 섭취량, 생활습관, 질병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이 결과 커피를 꾸준히 마시는 사람일수록 내장지방이 적고 비만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를 하루 1∼2잔 마시는 사람은 커피를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내장지방 비만(VO, VFA ≥ 100㎠) 확률이 25% 낮았다. 매일 커피를 3∼4잔 마시는 사람은 33%, 5잔 이상 마시는 사람은 35% 내장지방 비만 위험이 감소했다. 커피를 마시는 양이 많을수록 내장지방 비만 위험이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내장지방 축적이 주요 원인인 대사증후군과 각종 만성질환의 예방ㆍ관리에 커피 섭취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커피 속 주요 웰빙 성분인 카페인과 클로로젠산은 지방 합성을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 반응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클로로젠산은 고지방 식사에 따른 대사 손상을 억제하고, 혈관 기능을 향상하며, 항산화 효과를 통해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 것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하야시 박사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는 커피 섭취와 내장비만 간의 연관성을 CT 기반으로 입증한 최대 규모의 연구”이며 “식습관 개선의 하나로, 커피를 건강하게 즐기는 것이 내장지방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는 중년 직장인 중심의 단면조사(cross-sectional) 방식으로 수행된 데다, 여성과 고령층 참여가 적은 점, 커피의 종류(디카페인, 설탕ㆍ우유 포함 여부 등)나 열량 섭취 등 세부 요소가 반영되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적됐다.

 

 한편 건강 매체 ‘이팅웰’은 내장지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최고의 음료(#1 Drink)로 커피를 꼽았다. 커피에 포함된 각종 웰빙 성분이 대사율을 높이고 지방 분해를 촉진하며, 식욕을 조절해 내장지방을 빼준다는 것이다. 커피의 카페인은 기초대사율을 단기간에 5~20%까지 단기간 높여 지방 연소를 촉진하고, 클로로젠산ㆍ카페스톨 등 항산화 성분은 체지방, 특히 내장지방 감소에 기여한다고 했다. 커피 속 카페인이 신경계를 자극해 포만감을 높여 간접적으로 열량 섭취를 줄인다고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