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공예박물관, ‘전시해설사 양성교육’ 첫 시행…중장년 문화자원봉사자 양성 본격화

교육 수료자, 박물관 자원봉사 해설사로 활동…공예문화 전달자 역할 기대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서울공예박물관(관장 김수정)이 시민들이 더 풍부한 정보로 전시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전시해설사를 양성하는 전시해설사 양성교육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13일부터 시작된 이번 교육은 박물관 개관 이후 처음으로 진행되는 체계적인 양성과정으로 문화자원 봉사에 관심이 있는 만 40세~64세 서울시민 30여 명을 대상으로 한다.

 

서울런 4050 사회공헌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중장년층에게 지식습득은 물론,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여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여가문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지난 4월 11일부터 4월 28일까지 신청 접수를 받아 모집 정원이 빠르게 마감되며 큰 호응을 얻었다.

 

교육은 오는 6월 17일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2시~4시, 총 11회차에 걸쳐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실전형 교육과정으로 구성, 참가자들은 공예사, 현대공예에 대한 이해는 물론 관람객과의 소통방법, 전시 현장 실습과 시연 평가까지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고, 수료후 내부 심사를 통과한 참가자는 서울공예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로 위촉되어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

 

13일 진행된 첫 교육에서는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이 직접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며 “해설사는 단순한 설명자가 아닌, 공예와 사람을 이어주는 해석자”임을 강조했고, 15일에는 한주연 삼성문화재단 헤리티지 팀장이 ‘박물관 도슨트의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강의를 펼쳐 참가자와 함께 도슨트 사회적 역할에 대해 활발한 토론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전문가들의 생생한 경험을 들을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22일에는 최공호 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의 공예의 역사, 27일에는 전용일 국민대학교 명예교수의 현대공예의 이해, 6월 4일에는 스타 도슨트로 인기가 높은 김찬용 도슨트의 전시 현장에서 도슨트의 역할, 6월 5일 도슨트 실전 스킬 강의가 진행되며, 이론과 실전 노하우를 아우르는 강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번 전시해설양성사 교육과정은 단순한 교육을 넘어 공예의 가치를 전달하는 시민 파트너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과정을 통해 시민들이 공예문화의 ‘전달자’로서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발견하고, 활기찬 삶의 전환점을 맞이하시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