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이기업)는 매월 8일을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발견의 날'로 제정하고 상태를 알 수 있는 '발'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이 날은 '제4회 파란양말캠페인' 일환으로 "당신의 발에 관심을 가져주세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당뇨병 환자 대상 '발견교실' 운영 발 점검에 도움을 주는 발견달력 등 교육 물품 배포를 진행한다. 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당뇨병 환자의 진료 현황 분석 자료를 토대로 당뇨병 합병증이 심각함을 경고했다. 당뇨병 합병증 1위는 신경병증으로 손상된 말초 신경에 장애가 발생, 방치할 경우 족부 궤양이나 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전체 비외상성 족부절단의 50~70%가 당뇨병에 의한 것이라는 통계가 나왔지만 환자들은 환자의 14%만이 질환을 인지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와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평가
동아제약(대표 신동욱)은 상처 보호에 효과적인 일회용 반창고 ‘스킨가드 플러스(SKIN GUARD PLUS)’를 새롭게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스킨가드 플러스는 밀착력이 좋은 고밀도 우레탄 부직포와 저 알러지성 점착제로 만들어 굴곡지거나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 않고 피부 자극이 덜하다. 몸에 생긴 상처 크기와 부위에 따라 선택해 쓸 수 있도록 ‘소형’, ‘중형’, ‘대형’, ‘혼합형’, ‘점보’, ‘핑거’ 총 6종류로 구성됐다. 특히 ‘핑거’는 숫자 8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밴드가 잘 붙어 있기 어려운 손가락 관절과 손가락 끝에 생긴 상처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상처와 접해 있는 패드 부분은 그물망 흡수 패드를 적용, 밴드 제거 시 상처 딱지가 같이 떨어지는 2차 손상을 줄였다. 방수 필름까지 첨가
구부정한 허리를 생활 속에서 쉽게 펴주는 방법으로 'YTWL 스트레칭'이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연세바른병원은 13일 척추 건강을 위해 평소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을 소개했다.기구 없이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빠르고 놀라운 자세 교정 효과를 주는 'YTWL 스트레칭'은 신체 모양을 알파벳으로 나타낸 것으로 모든 동작을 순서대로 진행하고 특히 아침에 5분 정도 일주일에 3~4번 정도 시행하는 것이 좋다.Y 스트레칭은 바닥에 엎드린 자세에서 고개를 숙이고 팔을 Y자 형태로 곧게 뻗는다. 어깨가 올라가지 않도록 등을 조여주고 팔은 최대한 멀리 뻗어 위로 들어준다. 자세는 30초간 유지하되, 3회 반복한다.T 스트레칭은 팔을 벌렸을 때 팔과 몸의 모양이 T자가 되도록 한다. 복부에 힘을 주면서 가슴과 팔을 위로 들어올린다. 이 때, 뱉는 호흡과 함께 몸을 들어
울산시(시장 김기현)는 여름철 식중독 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빙수 등 하절기 다소비 식품 취급업소에 대한 특별 위생 점검을 13일부터 2주간 실시한다고 밝혔다.이번 점검은 민간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과 합동으로 실시되며 대상 업소는 영업장 면적 250㎡ 이상 대형 빙수·커피 프랜차이즈 전문점 47개소다.시는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여부, 제빙기 등 기계·기구류 청결 상태, 조리 종사자 개인 위생 등을 점검하고, 식중독 우려가 있는 식품에 대해서는 보건환경연구원과 협조해 수거·검사도 병행한다.위반행위가 적발된 업체는 과태료 및 고발 조치할 예정이며 점검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업소에 대해서도 향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식중독 예방에 힘쓸 계획이다.
경기도 여주시(시장 원경희)는 오는 16일부터 17일까지 이틀간산북체육공원에서 '제11회 산북양자산품실축제'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품실축제는 산북면에 거주하고 있는 화가, 음악가, 소설가, 공예가, 연예인 등 예술인이 30여명에 달하고, 옹청박물관, 해여림식물원, 죽포미술관 등이 있어 예술문화의 고장임을 알리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시작된 축제다.첫날인 16일에는 식전행사로 삼정승 고유제를 시작으로 농악공연, 태권무용, 라인댄스 등 다채로운 공연이 이어질 예정이며, 양자산 산채 비빔밥 만들기, 한마음노래자랑, 물고기잡기 체험, 놀이마당 이벤트 등 참여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17일에는 산북 양자산의 철쭉꽃과 풍미를 즐길 수 있는 경기도 양자산 등반대회가 열린다.권혁면 산북면장은 “품실축제를 통해 많은 관광객들이 산북면과 양자산에서 추억을 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