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뉴스

질병청, 엠폭스 중증화 유발 핵심 단백질 ‘AIM2’ 규명

노태영 기자 질병청, 엠폭스 중증화 유발 핵심 단백질 ‘AIM2’ 규명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이하 질병청)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이 엠폭스 중증화의 방아쇠 역할을 하는 단백질 센서를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세계적 면역학 학술지인 세포와 분자 면역학(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지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과장 김유진)와 이상준 울산과학기술원 교수팀, 김대식 성균관대학교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원숭이두창바이러스 감염 과정에서 AIM2 단백질이 과도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임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엠폭스의 치명률은 3% 내외로 높진 않지만 몸 안에서 과도한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정상 조직까지 파괴해 오히려 병을 악화시킬 수 있고, 건강한 청년이 독감이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목숨을 잃는 것도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라 불리는 염증 폭주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이번 연구를 통해 AIM2가 외부에서 침입한 원숭이두창바이러스의 DNA를 인식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바이러스 DNA를 인식해 활성화된 AIM2는 염증 소체(inflammasome)를 형성하고, 이 염증 소체가 다시 카스파제-1(caspase-1) 효소를 활성화하면서 세포가 파괴되고, 염증 신호 물질(IL-1β, IL-18)이 과다하게 분비된다. 또한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AIM2를 억제하였을 때 쥐 폐조직의 염증반응과 세포사멸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승관 청장은 “이번 연구는 원숭이두창바이러스 감염에서 과도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시작물질이 AIM2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규명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중증도 및 염증반응의 분자적 매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엠폭스 대유행 대비를 위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민·관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백신 및 치료제를 포함한 성과를 도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뉴스

더보기
전남도, 녹차 부산물로 ‘호지차 드립백’ 개발
전남도, 녹차 부산물로 ‘호지차 드립백’ 개발 [뉴시니어 = 노태영 기자] 전남도(도지사 김영록)는 농업기술원(원장 김행란)이 녹차 가공 과정에서 활용되지 못해 폐기되던 잎과 가지 등 미활용 자원을 재가공해 새로운 차 제품 호지차 드립백을 개발해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호지차 드립백은 지역 농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전남 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업사이클링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녹차를 생산할 때 선별 단계에서 잎과 어린 가지 등 사용하지 못하고 남는 자원이 다량 발생한다. 전남농업기술원 차산업연구소는 이들 자원에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고온에서 단계적으로 볶아 쓴맛과 떫은맛을 줄이고 부드럽고 구수한 풍미를 살리는 호지차 로스팅 제조기술을 확립했다. 특히 개발된 호지차는 커피 제품 중심으로 활용되던 ‘드립백 포장기술’을 차 제품에 적용해 상품화한 것이 특징으로 드립백 방식은 컵에 걸친 뒤 뜨거운 물만 부어 바로 우려낼 수 있어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다. 긴 우림 과정 없이도 안정적 맛을 낼 수 있어 휴대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층의 호응이 기대된다. 호지차 드립백 개발은 단순한 부산물 재활용을 넘어, 새로운 기능성과 시장성을 갖춘 차 제품으로 재탄생시킨 고부가가치 업사이클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김행란 농업기술원장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미활용 자원을 새로운 자원으로 재해석해 부가가치를 높인 성과”라며 “앞으로도 소비 편의성과 다양성을 갖춘 차 제품을 지속 개발해 지역 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포토

더보기

배너
배너

컬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