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터뷰]먹는샘물, 수질안전성과 기준은 모호...정부의 규제 나선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효율적인 제도 도입으로 소비자 중심적 시장 되어야" 국내 생수시장 점유율 광동제약, 롯데칠성음료, 농심, 해태음료 순

[문화투데이 = 조성윤기자] 올 여름 40℃가 넘나드는 폭염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은 먹는 샘물에 대한 막연한 기대치를 갖고 가방에 먹는샘물 1병 쯤은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출발한 먹는샘물은 성장을 통해 자체 및 OEM 방식을 통한 브랜드 수는 100여종이 넘는다. 그리고 시장 규모는 1조원에 달한다.



우리나라 먹는 샘물은 환경부 먹는물관리법에 지하암반층에서 나는 Natural mineral water로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고 물리적 처리만 가능토록한 생수이다. 푸드투데이는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을 만나 먹는 샘울의 생수유통과 표기, 뚜껑들에 대한 수질기준과 기준에 대해 들어봤다.


"그동안 먹는샘물과 관련한 원수에서의 일반세균 검출과 유통제품의 브론산염의 WHO 기준 초과와 최근에는 비소 검출과 악취 등 안전문제가 계속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특히 이런 우여곡절 가운데에서도 먹는 샘물은 일반 공산품과 달리 매일 최소 2L의 깨끗한 물을 마시려는 소비자 욕구에 대한 매우 높은 기대치를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 취수원  多 브랜드’로 인해 한 취수정의 물이 여러 브랜드들이 개별 브랜드 용기에 담아 판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일반 공산품 제품에서는 비록 OEM이라도 자사의 브랜드 가치를 발휘하기 위한 저마다의 매뉴얼과 레시피에 따라 주문 생산이 되고 있다.  먹는 샘물은 먹는물 수질기준에 맞춰 놓은 물에 차별화 전략이 없음에도 ‘1 취수정 多브랜드’들의 가격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다는 것이 김연화 회장의 설명이다.





같은 먹는물에서의 수돗물과 정수기는 지표수 수질기준과 KC인증제도를 통해 사전 예방적 기준이 있으나, 먹는샘물은 환경부령에 따라 지자체 장이 허가를 내주고 해당 지차체에서 연2회 업체 시설 점검 및 분기별 유통 샘물 품질 검사도 실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지자체 각 지역의 산업을 지켜가야 하는 상황에서 강력한 잣대로 관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소비자의 안전과 신뢰를 다지는데는 부족한 현실이다.


김 회장은 "그동안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계곡수 및 지하수 등이 먹는샘물로 둔갑 판매되지 못하도록 막아온 최소한의 제도적 안전 장치였던 병뚜껑 인증제도도 결국 규제 완화로 인해 사라지게 됐다"면서 "요즘처럼 물 수요가 급증하는 때 지방 주유소 등에서 먹는샘물을 무료로 받지만 수질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음용 갈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또, 최근에는 서울시 민생사법경찰이 먹는샘물의 거짓표시 및 표시 누락을 한 4개업소를 형사 입건한 사실도 있다. 김연화 회장은 "느슨한 제도의 틈을 타서 도‧소매‧유통업체들이 제품명, 수원지, 무기물질 함량, 유통기한 등 먹는샘물에 대한 국내 제품의 신뢰성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문제 제기가 되는 비소 검출, 악취 문제 등 소비자 불만이 제기되는 것은 안전관리 및 먹는샘물의 정통성이 무너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업체들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안전과 맛의 차별화 전략이 없어 소비자 선택에 대한 정보를 줄만한 질적 차별화 즉, 상품 가치를 줄만한 관리대책이 없다는 이야기죠. 얼마 전 서울시내 등에 대형슈퍼에 가보고 깜짝 놀랄 일이 있었는데요.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먹는샘물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관리하는 혼합음료가 음료수 판매코너에 뒤섞여 있어 소비자들은 혼합음료를 먹는샘물로 오인하고 구매를 하고 있더라고요."


김연화 회장은 "실제 현장에서는 먹는샘물 수질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먹는샘물 업체는 식약처의 혼합음료로 약간의 첨가물을 혼합해 마치 먹는물과 같은 역할로 판매되고 있다"면서 "환경부에서는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병뚜껑에 표시제도를 의무화했지만 소비자들은 혼합음료와 먹는물에 대한 명확한 차이를 인지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표기 시 병뚜껑에 양각, 음각의 표시는 공급자 중심이기 때문에 소비자 중심의 표시제도로 개선, 신뢰를 줄 수 있는 병뚜껑 표시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다.


이어, "업체들은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 안전과 신뢰를 줄 수 있는 표기 방법을 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제도에도 각고의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며, "정부도 명확한 규정과 관리에 힘써서 소비자 중심적 시장 전환이 되도록 관리 감독에 철저히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내년 1월 1일부터는 먹는샘물과 혼합음료의 소비자 구분을 정확히 하게 위해서 뚜껑에 표시제도를 먹는 샘물과 혼합음료 구분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