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목일의 역사를 찾아서...왜 4월 5일인가?



70회 째를 맞이하는 올해 식목일은 광복 70년과 함께 뜻 깊은 식목일 행사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식목일에는 충북 충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신원섭 산림청장를 비롯해 지역 대학생 및 주민을 포함해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청명, 한식과 함께 연례행사인 식목일의 역사를 되새겨 21세기의 식목행사의 의미를 알아보자.



- 식목일, 그 역사는?

식목일은 국민 식수에 의한 애림 의식을 높이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4월 5일을 식목일로 제정했다.

1949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을 제정하면서 식목일이 공휴일로 정해진 뒤 1960년 3월 15일을 사방의 날로 대체 지정하면서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이듬해 다시 식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공휴일로 환원됐다.

1990년 공휴일에서 제외하자는 견해가 있기도 했지만 청명, 한식 등과 겹치는 날이라 공휴일은 변동이 없게 제정했으나 2006년 기념일로 변경돼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식목일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1300여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 문무왕은 10년부터 8년간 당나라와 싸워서 문무왕 17년(서기 677년) 2월25일에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삼국통일을 이룩했다. 문무왕은 17년 2월25일(양력 4월5일)을 기념해 나무를 심었던 것이 식목일의 유래다.

또한 신라의 최치원이 경남 향양군수로 재직할 때 바람 피해와 재해 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우리나라 최초의 조림역사로 남아있다.

고려시대는 개성 송악산의 땅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다.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주로 바람의 피해를 예방하거나 풍수지리에 따라 땅기운이 약한 곳에 나무를 심어 보호해주려는 비보(裨補)조림을 통해 숲을 만들었다.

조선시대는 경국대전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조항을 넣어 백성들이 나무가꾸기를 강조하고 산림관리를 강화했다.

나무심기를 강조한 이유는 바다 쪽으로 침입하는 외적을 물리칠 병선과 당시 국가경영에 필요한 세금이었던 쌀 등 공물의 운반에 필요한 선박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성종(성종 24년 3월10일)때에도 이와 유사한 행사가 있었다.

세자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선농단에 제사를 올리고 뽕나무밭을 직접 가꾸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농업과 임업 사상이 매우 중요한 날로 여겨왔다. 청명과 한식 때와 겹쳐 조상에게 성묘하고 주변의 산이나 들에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식목일이 공식적으로 생겨난 것은 1911년 4월3일을 조선총독부가 식목일로 지정하면서부터다.

이 전에도 신학기를 맞은 학교에서는 식목방학이라고 해 1주일 정도 ‘나무심는 기간’을 주기도 했다.

1946년 미군정청에서 4월5일을 식목일로 제정했다. 건국직후인 1949년 당시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을 제정하면서 식목일이 공휴일로 지정됐다.

지정된지 1년 만에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제외 하고 그해 3월15일을 사방(沙防)의 날로 대체 지정했지만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면서 공휴일로 부활했다.

- 식목일은 왜 4월 5일인가?

첫 번째 이유는 신라 문무왕 677년 음력 2월 25일 신라가 당나라를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이룬 날로 민족의 역사상 통일의 업적을 이룬 날이다.

두 번째 이유는 4월 5일이 조선 성종 1493년 3월 10일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성종이 동대문 밖으로 나가 선농단 제사를 지내고 직접 밭을 일구었다고 전해진다. 왕이 직접 밭을 일구었던 것을 보면 농사를 얼마나 중시했는지 알 수 있다.

세 번째 이유는 4월이 계절, 날씨로 볼 때 나무 심기에 좋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 나무를 심어야 하는 이유

나무를 심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산소 때문이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만든다. 광합성 작용으로 한 사람이 해마다 배출하는 온실가스 4톤을 흡수하려면 무성한 산림 1만㎡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지구 사막화 방지’를 위한 것이다. ‘지구 사막화’는 말 그대로 지구의 땅이 사막으로 변하는 것이다. 사막화가 계속 진행되면 지구는 산소 부족 및 홍수로 인한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 상승하고 그로인해 현재 지구 전체의 열이 많아지면서 강수량보다 증발하는 물의 양이 더욱 많아진 상태다.

건조해진 기후는 토양을 더 황폐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50년간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국토의 6배가 넘는 면적이 사막으로 변했고 가까운 나라 필리핀은 국토의 70%가 삼림이었던 것이 현재는 약 3%만 남았을 정도다.

우리나라도 사막화에 안전하지 않다. 매년 봄이면 중국을 통해 오는 황사피해가 많다.

먼지 및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등 정제되지 않은 매연과 뒤섞이면서 피부염, 결막염 등을 유발시키고 있다.

황사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나무다. 나무는 산소를 발생시키고 온도는 낮추고 습도는 높여줌으로써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해마다 열리는 식목일 행사는 우리의 생명과도 연관된 중요한 일이다.

◇나무 심는 방법

▲심을 나무의 크기에 따라 구덩이를 충분히 파낸 후 겉흙과 속흙을 구분하고 돌과 낙엽을 거둬낸다.

▲부드러운 겉흙은 5~6cm정도 넣은 다음 묘목의 뿌리를 다듬은 후 곧게 세우고 겉흙부터 구덩이의 2/3 정도가 되도록 채워준다.
▲묘목을 살살 흔들어주며 뿌리사이로 흙이 채워지도록 한 다음 밟아준다.

▲묘목을 심은 주변을 잘 고정되도록 흙을 모아 덮고 잘 밟아준다. 주변보다 약간 높게 정리하며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낙엽 및 풀 등으로 덮어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NEWS

더보기

배너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