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인 여성 약 8%, 무증상 갑상선 기능 이상 상태

  • 등록 2023.01.26 18:11:26
크게보기

[뉴시니어 = 조성윤 기자]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8% 가까이가 무증상(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 상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성에겐 불현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여성에겐 불현성 기능 저하증이 일상생활에 더 자주 지장을 줬다.

 

2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인제대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윤영숙 교수팀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4,859명(남 2,270명, 여 2,589명)을 대상으로 무증상 갑상선 기능 이상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불현성 갑상샘 기능 이상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성인 남성의 불현성(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유병률은 2.1%, 불현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유병률은 2.4%로, 남성의 4.5%가 갑상선 기능 이상 상태였다. 성인 여성의 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 비율은 남성보다 높은 7.6%였다.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4.4%, 불현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 3.2%였다.

 

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은 특별한 증상은 없었지만,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작용했다. 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등 삶의 질 감소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성 불현성 갑상선 항진증 환자와 여성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가 일상생활의 지장을 많이 받았다.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남성 대비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남성이 일상생활의 지장을 받을 가능성은 4.3배였고,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여성보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는 여성이 일상생활 지장을 받을 가능성은 2.4배였다.   

 

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은 갑상선 기능검사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이 증가(기능 항진증) 또는 감소(기능 저하증)해 있지만 갑상선 호르몬은 정상인 상태를 가리킨다. 

 

윤 교수팀은 논문에서 “남성에선 불현성 갑상선 항진증, 여성에선 불현성 갑상선 저하증이 삶의 질을 낮추는 것은 갑상선 기능 이상에서도 남녀 간에 삶의 질 저하를 느끼는 영역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불현성 갑상선 저하증 여성은 체질량지수(BMI)가 높고, 고혈압이 많았다. 불현성 갑상선 항진증 남성은 신체 활동량이 적고, 흡연율이 높았다.

조성윤 기자 7436064@hanmail.net
ⓒ 2014 nsenior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3154 등록일자 : 2014.05.14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 2014 munhwatoday.com.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뉴시니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