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 내아에서 펼쳐지는 한옥자원활용 야간상설공연 ‘버라이어티 감성농악 - 도리화 귀경가세’가 광주예술난장 굿판 학술마당에서 전통농악 기획공연 사례로 발표된다.
고창농악보존회(회장 이명훈)에 따르면 ‘도리화 귀경가세’는 오는 20일 광주광역시 대촌전통문화커뮤니티센터 세미나실에서 펼쳐지는 광주예술난장 굿판 학술마당에서 전통농악을 토대로 한 창작 사례로 소개된다.
사례 발표는 ‘도리화 귀경가세’의 기획과 고창농악의 전통이라는 주제로 펼쳐지며 남기성 연출이 발표를 맡는다. 토론자로는 이용식 전남대 국악과 교수와 송기태 도서문화연구원 교수가 나선다.
이번 학술마당은 전통공연문화와 축제의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전통연희에 기반을 둔 공연문화의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가능성을 논의하며, 축제로서의 발전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한옥자원활용 야간상설공연으로 진행되는 ‘버라이어티 감성농악 - 도리화 귀경가세’는 공연을 거점으로 고창군청과 지역주민, 소상공인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를 이끌어낸 민관협력 문화상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날 학술대회에선 고창의 ‘도리화 귀경가세’를 필두로 주민주도형으로 문화마을이 조성되고 있는 양산시 문화특화지역, 수원 칠보산마을의 강강술래, 목포세계마당페스티벌 등의 사례가 소개된다.
한편. ‘도리화 귀경가세’는 농악을 중심으로 기악과 연극, 각종 볼거리를 풍성하게 담은 ‘버라이어티 감성농악’으로 고창 출신의 판소리 이론가 신재효와 그의 제자이자 조선 최초의 여성 판소리꾼인 진채선의 그리움과 예술혼을 다룬 공연이다.
전라북도와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고창군이 주최하고 고창농악보존회가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한다.